![LG퓨리케어 공기청정기의 모습 LG퓨리케어 공기청정기의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1_210308.jpg)
따뜻한 봄을 느낄 수 있는 3월입니다. 하지만, 이와 함께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죠. 바로 ‘미세먼지’입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미세먼지에 오래 노출되면 천식이나 기관지염 등의 여러 질병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위생과 건강을 위해선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공기청정기’입니다.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등 공기 중에 떠다니는 여러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제품의 성능을 꾸준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죠. 그래서 오늘은 안전한 봄을 보낼 수 있도록 LG 퓨리케어 공기청정기를 관리하는 3가지 팁을 준비했습니다. 함께 확인해볼까요?
주기적인 필터 관리하기
LG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내부에는 먼지를 걸러내 주는 극세필터가 있습니다. 미세한 먼지까지 걸러낼 수 있어 필터에는 먼지가 금세 쌓일 수 있죠.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해야만 제품의 수명을 늘리고 공기청정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럼 극세필터를 어떻게 청소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공기청정기와 필터 분리
![공기청정기 덮개를 분리하는 모습 공기청정기 덮개를 분리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2_210308.jpg)
먼저 안전을 위해 공기 청정기의 전원을 끄고 콘센트를 분리해야 합니다. 이후 앞, 뒷면의 덮개를 살짝 당기면서 들어올려 분리*합니다. 이후 제품 하단의 위치한 필터를 꺼낼 땐, 필터의 손잡이를 잡고 앞쪽으로 당겨 완전히 꺼내줍니다.
* 제품과 커버는 자석으로 붙어 있습니다. 상단 양 측면은 잡고 몸 쪽으로 당겨 분리해주세요.
![공기청정기 극세필터의 먼지를 제거하는 모습 공기청정기 극세필터의 먼지를 제거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3_210308.jpg)
② 커버와 필터 먼지 제거
분리한 공기청정기 덮개는 젖은 수건으로 표면을 닦아줍니다. 이후 부드러운 천으로 물기를 없애야 합니다. 극세필터는 부드러운 솔 또는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필터에 붙은 먼지를 제거합니다. 이때 필터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후 필터의 윗면과 아랫면을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줍니다.
주의! 극세필터 분리 시 벨크로 부분이 쉽게 뜯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 주시고, 제거한 극세필터는 가급적 새 극세필터로 교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필터를 넣기전, 꺼낸 자리를 부드러운 천으로 닦는 모습 필터를 넣기전, 꺼낸 자리를 부드러운 천으로 닦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4_210308.jpg)
③ 필터를 다시 본체에 넣고 덮개 조립
필터를 넣기 전, 꺼낸 자리를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줍니다. 이후 필터의 손잡이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본체에 넣고 앞, 뒷면의 덮개 4곳의 홈을 맞춰 잘 닫아줍니다. 이때 덮개 사이가 벌어지고 높이가 잘 맞지 않으면 덮개를 분리한 다음 다시 조립*해줘야 하죠
* 커버 조립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커버 사이 틈새 또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4곳의 고정 홈에 맞추어 조립해 주세요.
먼지 센서에 붙은 먼지 닦아내기
LG 퓨리케어 공기청정기는 극초미세먼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PM1.0 센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머리카락 굵기의 1/100인 지름 1.0㎛의 극초미세먼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죠. 이 센서를 통해 실내의 먼지 농도를 감지한 뒤, 제품의 청정표시등에 1단계[좋음]부터 4단계[매우 나쁨]까지 단계별로 표시합니다.
센서에 먼지가 쌓이면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힘들어지기에, 센서는 2달에 1번 정도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먼지 센서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퓨리케어 360˚ 알파의 경우, PM1.0 센서의 렌즈를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습니다.
①센서 위치 확인
![센서의 위치를 설명해주는 이미지 제품별로 다른 센서 위치
클린부스터 2단
일반 2단
클린부스터 1단
일반 1단](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5_210308.jpg)
먼저 먼지 센서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PM1.0 센서는 2단 제품의 경우 상단 뒷면 덮개 안쪽에, 1단 제품은 뒷면 덮개 안쪽에 있습니다. 덮개는 양쪽 끝부분을 잡고 몸 쪽으로 살짝 당긴 다음 들어 올리면 분리가 가능합니다.
② 센서의 먼지 제거
![센서의 먼지를 제거해주는 모습 센서의 먼지를 제거해주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6_210308.jpg)
[PM1.0 SENSOR]로 표시된 센서의 덮개를 열고 안쪽 10시 방향에 위치한 렌즈를 면봉에 물을 약간 묻혀 닦아줍니다*. 이어 마른 면봉으로 렌즈를 닦아 물기를 완전히 없애줘야 합니다.
* 유분 성분을 포함한 먼지의 경우, 유막이 형성되어 물로만 닦아주면 오히려 렌즈 표면을 더 더럽힐 수 있습니다. 약간의 알코올을 묻힌 솜으로 닦아 주세요.(예: 일반 소주)
③ 제품 덮개 조립
![제품 덮개를 조립하는 모습 제품 덮개를 조립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7_210308.jpg)
PM1.0 센서 덮개를 닫은 다음, 제품 뒷면 덮개를 아래쪽 4곳의 홈에 맞춰 잘 닫아주면 됩니다.
클린부스터 내부 청소하기
클린부스터는 공기청정기의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와 냄새 분자가 걸러진 깨끗한 공기를 실내의 먼 거리까지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클린부스터의 팬에 먼지가 쌓이면 팬에 붙어있는 먼지가 날아가 청정 효과가 낮아질 수 있죠.
![공기청정기 모델이 클린부스터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제품인지 확인하는 모습 공기청정기 모델이 클린부스터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제품인지 확인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8_210308.jpg)
클린부스터를 청소하기 전, 사용하시는 공기청정기 모델이 클린부스터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제품인지 먼저 확인해 주세요.
제품 모델명 및 제조년월은 제품 제조 정보 스티커를 확인하거나, LG전자 서비스 센터와 상담해 주세요. 제품 제조 정보 스티커 부착 위치는 퓨리케어 360 제품 하단 후면 안쪽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 2018년 10월~2021년 04월 제조된 퓨리케어 360 라인 제품에 한해서 직접 클린부스터를 분리하고 청소할 수 있습니다.
* 2018년 08월 이전, 2021년 05월 이후 제조된 퓨리케어 360 라인 제품 그리고 퓨리케어 알파 라인 제품은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청소를 받아야 합니다.
* 클린부스터 청소는 유상 청구 됩니다.
그럼 클린부스터를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클린부스터 그릴 분리
먼저 안전을 위해 공기청정기의 전원을 끄고 콘센트를 분리해야 합니다.
![클린부스터 덮개를 위로 올려 분리하는 모습 클린부스터 덮개를 위로 올려 분리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09_210308.jpg)
클린부스터 덮개를 뒤쪽부터 위로 올려 분리하면 클린부스터 팬을 보호하는 그릴이 나타납니다.
![2개의 나사를 분리하는 모습 2개의 나사를 분리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0_210308.jpg)
그릴을 고정한 2개의 나사를 십자드라이버를 활용해 분리해줍니다.
![그릴을 들어올리는 방향을 표현한 모습 그릴을 들어올리는 방향을 표현한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1_210308.jpg)
![그릴을 들어올리는 방향을 표현한 모습 그릴을 들어올리는 방향을 표현한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2_210308.jpg)
이어 그릴 뒤쪽을 잡고 위로 천천히 들어 올려줍니다.*
*그릴을 열 때 그릴이 파손될 수 있으니, 90° 이상 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주의! Fan 분해 조립 시, 미체결 또는 과체결로 인한 소음/진동이 발생 할 수 있으니 가이드에 따른 정확한 방법으로 따라주세요.
② 클린부스터 팬 분리 후 세척
![클린부스터 펜을 고정한 가운데의 너트를 빼내는 모습 클린부스터 펜을 고정한 가운데의 너트를 빼내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3_210308.jpg)
그릴을 열고 클린부스터 팬을 고정한 가운데의 너트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뺍니다.* 이후 팬과 그릴에 붙어있는 먼지를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줍니다. 만약 팬의 오염이 심하다면 물로 씻은 다음 마른 천으로 물기를 완전히 없애줘야 합니다.
*앞서 분해한 그릴 고정 나사 2개와 팬 고정 너트를 분실하지 않도록 보관해주세요.
③ 클린부스터 팬 조립
![클린부스터 팬을 조립하는 모습 클린부스터 팬을 조립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4_210308.jpg)
팬을 원래의 자리에 끼우고, 너트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단단히 고정합니다. 이때 팬이 올바르게 고정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축에 파인 홈 부분(D 컷)과 팬 중심의 면 부분(D 컷)을 맞추어 끝까지 밀어 넣어 조립합니다.
![올바른 너트 조립 예시 올바른 너트 조립 예시](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5_210308.jpg)
팬 고정 너트는 평평한 면이 아래로 향해 조립되게 하며 고정 너트를 시계방향으로 약 5바퀴 돌려 단단히 조인 후 공구를 사용하여 한 번 더 단단히 조여주면 됩니다.
![클린부스터 덮개를 조립하는 모습 클린부스터 덮개를 조립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6_210308.jpg)
팬을 넣고 그릴을 덮은 다음, 나사 2개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조여줍니다. 이어 클린부스터 덮개 안쪽의 FRONT 표시가 제품 앞면(로고가 있는 곳)에 오도록 맞춘 채로 고정 고리를 앞, 뒤 양쪽 순서로 조립하면 됩니다.
![퓨리케어 공기청정기가 작동하는 모습 퓨리케어 공기청정기가 작동하는 모습](https://live.lge.co.kr/wp-content/uploads/2021/03/air-purifier_17_210308.jpg)
지금까지 봄맞이 퓨리케어 공기청정기의 필터와 센서, 클린부스터 관리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가전제품은 꾸준히 점검하고 관리할수록, 제품을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알려드린 관리 팁으로 공기청정기도 깨끗하게 관리하고 올 봄은 안전하고 상쾌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