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G전자 후원 ‘세계 최대 한글벽화’ 美 뉴욕서 첫 선 K-컬처 알린다

2024-10-07 LG전자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가로 8m, 높이 22m의 세계 최대 한글벽화를 만드는 ‘한글벽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한글벽은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뉴욕한국문화원 신청사에 세워졌으며, 지난 25일(현지시간) 처음 공개됐다.

대한민국 국기인 태극기가 걸려 있는 유리창 옆 벽면에 대형 전시물이 설치되어 있다.  
전시물 중앙에는 흑백 도트로 구성된 도시 스카이라인 이미지와 함께 알록달록한 한글 타일이 나열된 예술 작품이 있다.  
작품에는 “낙관적인 태도로 담대한 도전을 하면 삶은 좋아질 거야 엘지”라는 문구가 다양한 색상의 한글 타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 하단에는 “Hangeul Wall”, “KCCNY x Ik-Joong Kang”이라는 설명이 적혀 있으며,  
배경 전체는 수천 개의 한글 자모 타일이 모자이크처럼 이어져 있다.
LG전자가 美 뉴욕한국문화원 신청사에 세계 최대 ‘한글벽화’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후원했다. 가로 8m, 높이 22m 규모의 세계 최대 한글 공공미술 작품인 한글벽은 지난 25일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처음 공개됐다.

한글벽 프로젝트는 강익중 작가가 뉴욕한국문화원과 손잡고 세계 최대 한글 공공미술 작품인 한글벽을 문화원 신청사에 설치하는 프로젝트다. 벽화에는 ‘내가 알게 된 것’을 주제로 전세계에서 모인 한글 작품 중 선정된 1,000점이 활용됐으며, 약 2만자의 한글이 새겨져 있다.

LG전자는 캠페인 홈페이지를 제작을 비롯, 전세계에서 글귀를 모을 수 있도록 재능기부 형식으로 한글 입력기와 작품 생성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등도 구축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홈페이지를 방문한 인원은 820만여 명에 달한다.

정면에서 아래쪽에서 위로 올려다보며 촬영된 ‘Hangeul Wall’의 전경.  
한글 예술 작품이 걸린 대형 전시물이 중앙에 있고, 그 주변 벽 전체에는 다채로운 색상의 한글 자음과 모음 타일이 촘촘히 이어져 있다.  
작품 아래에는 도시 실루엣 드로잉과 “Hangeul Wall”, “KCCNY x Ik-Joong Kang”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으며,  
타일 하나하나에는 한글 글자 또는 짧은 단어들이 다양한 폰트와 색으로 인쇄되어 있다.  
햇빛이 전시물 위로 자연스럽게 비추며 밝고 생동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LG전자가 美 뉴욕한국문화원 신청사에 세계 최대 ‘한글벽화’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후원했다. 가로 8m, 높이 22m 규모의 세계 최대 한글 공공미술 작품인 한글벽은 지난 25일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처음 공개됐다.

LG전자는 한글벽 작품에 ‘낙관적인 태도로 담대한 도전을 하면 삶은 좋아질 거야’라는 글귀로 브랜드 슬로건인 ‘Life’s Good’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Hangeul Wall’ 전시가 설치된 건물의 내부 계단 옆 벽 전체가 형형색색의 한글 타일로 덮여 있다.  
계단 오른쪽 위 벽면에는 한글 타일과 함께 메인 전시 작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아래와 옆에는 수천 개의 타일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사람의 얼굴 형태로 보이기도 한다.  
작품 중앙의 문구는 “낙관적인 태도로 담대한 도전을 하면 삶은 좋아질 거야 엘지”이며,  
계단 하단 유리벽에는 LG와 KISS(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로고가 보인다.  
전체적으로 문화예술과 기업 메시지가 융합된 공공 디자인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LG전자가 美 뉴욕한국문화원 신청사에 세계 최대 ‘한글벽화’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후원했다. 가로 8m, 높이 22m 규모의 세계 최대 한글 공공미술 작품인 한글벽은 지난 25일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처음 공개됐다.

한편 LG전자는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앞서 지난달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프리즈 서울(Frieze Seoul) 2024’에는 2년째 공식 헤드라인 파트너로 참가해 ‘LG 투명 올레드 TV’로 수묵 초상화 거장인 故 서세옥 화백의 작품을 재해석해 선보였으며, 지난 5월 ‘프리즈 뉴욕’에서는 추상미술의 거장 故 김환기 화백의 작품을 재해석한 미디어아트 5점을 ‘2024년형 LG 올레드 에보’로 재해석해 전시한 바 있다. 또 현재는 한국문화원 전시회에 LG 올레드 TV를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