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모(歲暮)

2015.12.23 유광종

벌써 해가진다. 봄물이 시리게 차오르는 연못가의 파릇한 풀을 본 날이 엊그제 인듯 한데, 벌써 섬 돌위를 구르는 오동잎은 가을을 알렸다. 그런 가을도 쏜살처럼 후딱 지나가더니 차가운 눈, 한설(寒雪)이 내려 겨울이 닥쳤음을 알렸고 이제는 마침내 한 해의 끝이다. 시간의 흐름은 이처럼 빠르기만해 촌각의 시간도 가벼이 다룰 수 없다면서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 이라는 성구도 만들어 냈다.

[한자 그물로 중국漁 잡기] ⑬ 세모(歲暮)

“歲歲年年人不同(세세년년인부동)”이라는 말이 있다. 옛 시구에서 먼저 나온 뒤 후대의 중국 시단에서 즐겨 썼던 말이다.

풀자면 “해마다 사람은 모두 다르다”는 뜻이다. 앞 구절에는 “해마다 피는 꽃은 서로 비슷해도(年年歲歲花相似)”라는 말이 등장한다. 세월이 흘러도 경물(景物)은 변함이 없지만 시간의 흐름을 따라가는 사람의 모습은 나날이 달라진다는 뜻이다.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다”라는 우리 옛 시조가 떠올려지는 대목이다. 그렇게 시간은 꾸준히 지나가고, 사람의 인생은 덧없이 흘러간다. 2015년의 시작을 알린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세밑, 즉 세모(歲暮)에 이르렀다.

New Year clock moments before midnight.

해를 가리키는 한자어는 年(년), 歲(세), 載(재), 祀(사) 등이 있다. 年(년)은 농작물 수확을 가리키는 글자로 처음 등장했다. 따라서 한자 단어 중 유년(有年)은 풍년, 대유년(大有年)은 대풍(大豊)을 가리킨다. 가을걷이, 즉 농작물 수확으로 1년이 지나감을 기억하면서 지금의 ‘해’라는 뜻을 얻었다.

歲(세)는 원래 太歲(태세), 즉 태양계 행성의 하나인 목성(木星)을 가리켰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주기가 11.86년이다. 지구에서 볼 때 매 해마다 특정한 구역에서 머물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목성의 위치를 견줘 해를 따졌다고 한다.

載(재)는 물건 등을 ‘싣다’의 뜻이다. 정확하게 어떤 이유인지는 추정키 어렵지만, 이 글자 또한 ‘해’라는 뜻을 얻었다. 천년에 한 번 맞을까 말까하는 기회를 이야기할 때 ‘千載一遇(천재일우)’라고 적는 경우다. 祀(사) 역시 원래는 ‘해’의 뜻이었으나, 나중에 왕조 차원이나 개인 가정에서 벌이는 ‘제사’의 뜻이 매우 강해져 지금은 쓰지 않는 편이다.

역대 중국의 최고 시인이라고 하는 이백(李白)은 이런 말을 남겼다.

따옴표-3“무릇 하늘과 땅이라는 존재는 만물이 거치는 여관이요, 시간이라는 것은 영겁을 스쳐가는 나그네(夫天地者萬物之逆旅, 光陰者百代之過客)”

라고 말이다. 제법 운치가 있어 보인다.

장자(莊子)가 인생을 바라보는 눈길도 다르지 않다. 그는

따옴표-3“하늘과 땅에서 살아가는 인생이란 마치 좁은 문틈으로 하얀 말이 지나가는(白駒過隙) 모습을 보는 듯하다”

고 했다. 조그맣게 벌어진 문틈으로 하얀 말이 지나가는 속도야 그야말로 순식간(瞬息間)이다. 눈 감았다 뜨고(瞬), 들숨 날숨 한 번 들었다 나가는(息) 사이(間) 말이다.

매우 낭만적이었던 시인 이백(李白)은 “그러니 옛 사람이 촛불 켜들고 밤새 노닐었던 일은 다 이유가 있음이라”며 실컷 놀기를 권유한다. 촛불 켜들고 밤새 노니는 일은 한자로 秉燭夜遊(병촉야유)다. 전깃불로 밤이 대낮처럼 밝은 현대 사회라 치더라도 그렇게 마구 밤길을 떠도는 일은 삼가는 게 좋다.

주저 앉았다가도 훌훌 털고 일어나 길을 가는 게 인생이다. 휙~스쳐간다고는 하지만 인생은 등에 큰 짐을 지고 먼 길을 가는 일이다. 한자로 적으면 負重致遠(부중치원)이다. 짧은 인생, 시간 탓만 하고 있기에는 어딘가 허전하기 짝이 없다.

올해 세밑도 마찬가지다. 한 해의 마지막 날은 세제(歲除)라고 적는다.

수평선 위로 빨간 태양이 지는 모습

벌써 한 해가 진다. 쏜살같이 흐르는 시간의 속도를 절감하는 때가 세밑, 즉 세모(歲暮)다. 일몰의 장엄한 풍경이 세밑에 접어든 우리의 심사를 말해준다.

여기서 除(제)는 ‘가다’ ‘바뀌다’의 뜻이다. 해가 바뀌는 마지막 날에 적합한 표현이다. 그 날 밤은 그래서 除夕(제석), 除夜(제야)라고 적는다. 밤새 뜬 눈으로 조심스레 해의 바뀜을 맞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중국에서는 守歲(수세)라고 부른다. 취기(醉氣)에 휘감겨 새해를 맞이하는 일은 어설프다. 조용하게, 숙연하게 떠나는 해를 보내면서 다가오는 새해를 맞이할 일이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만나보세요!

LiVE LG 뉴스레터 구독하기

LiVE LG의 모든 콘텐츠는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글과 이미지는 저작권과 초상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운영정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