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기의 소셜미디어와 사회변화] 소셜네트워크 안에서 행복하십니까?

2012.11.21 한상기

한 친구는 휴가지인 외국 해안가에서 사진을 올리고, 또 다른 친구는 카페에서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또 한 명은 자전거를 타거나 등산을 하고, 마지막 친구는 영화를 보고 나왔다는 글을 읽고있는 나는 지금 야근을 하거나 과제에 매달리면서 페이스북의 타임라인을 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SNS를 사용하면서 세상에서 나만 힘들고, 외롭고, 불행하다고 느낀다. 남들은 멋지고 즐거운 인생을 사는 것 같은데 나만 형편 없는 상황인 듯 하고, 내 글에만 ‘좋아요’나 댓글이 별로 달리지 않는 것 같고, 관심도 못 받는 것 같다. 왜 그럴까?

[한상기의 소셜미디어와 사회변화] ② 소셜네트워크 안에서 행복하십니까?

2011년 스탠포드의 심리학과 박사과정 중이던 알렉스 조단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본 결과 많은 사람이 이렇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프랑스 철학자 몽테스키외 말 대로 ‘우리가 행복하기를 원한다면 그것은 쉽다. 그러나 남들보다 더 행복하기를 원한다면 그것은 언제나 매우 힘든데, 왜냐하면 우리가 남들이 실제로 행복한 것보다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라는 이유 때문이다.

이미지

사람들은 남의 불행은 내 불행 보다 더 작게 느끼고 남의 행복은 나의 행복보다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

SNS가 이를 더 과장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친구들의 삶의 일부만 보여주고 있으면서 비현실적으로 더 행복하게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더군다나 내 친구가 늘수록 우리가 봐야 하는 글은 더 늘어나고 잘 모르는 사람이 온라인 친구가 되었을 때 이런 감정이 더 늘어나는 것이다. 마드리드 대학의 곤칼브스 교수는 친구 숫자가 354명을 넘어서면 이 경향이 더 커지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옥스포드 대학의 로빈 던바 교수가 얘기한 150명의 던바 넘버(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상대방의 상황을 인지하면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친구의 수의 한계)를 생각하면, 300명을 넘어서면 우리는 온라인 친구에 대해 정확한 모습이나 상태, 그 배경을 잘 모르게 되어 있다. 우리 대뇌의 인지능력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사회심리학에서는 90년 대 많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이런 경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잘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판타지와 상상을 덧붙이기 때문이다. 나랑 채팅 하는 사람이 아주 멋지고 다정하고 인간성이 좋은 사람이라고 상상하면서 얘기했던 경험이 있지 않는가?

트위터에서 조차 사람들은 자신이 진짜 느끼는 것보다는 남들이 듣고 싶어 하는 것을 말하고 있다고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자인 댄 길버트는 말한다. 즉, 우리는 보이고 싶어하는 자신의 모습을 실제 정체성이 아닌 가상의 정체성으로 보이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 모습은 대부분 우리가 지향하는 모습일 경우가 많다. 남들도 다 본인의 실제 모습보다는 지향하는 모습, 또는 자신이 원하고 만들어 내고 싶은 모습을 사이버 공간을 통해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The facebook version of you 이미지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의 제이넵 튜페키 교수는 ‘페이스북이 우리를 외롭게 만드는가?’ 라는 글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실제 고립감은 오랜 근무시간, 긴 통근 시간, 커뮤니티의 감소 등에 의한 것이지 온라인 사회성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사람은 더 외로워진 이유를 서사적으로 풀이하면서 내가 요즘 온라인 활동을 더 많이, 오래 하니 자연스럽게 SNS가 우리를 외롭게 만든다고 스스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면대면 사회성의 부족이다.

MIT의 셰리 터클 교수의 얘기대로 연결은 많아지지만 대화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사람들이 만나서 보여주는 것은 다들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몰두하고 있는 모습이라는 것은 누구나 느끼는 것 아닌가?

세 번째는 온라인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인데, 아무리 온라인 활동을 해도 이를 실제 사회성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면대면 사회성의 부족함을 채우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SNS의 밑바탕에는 우리의 욕망이 숨겨져 있다. 나르시시즘과 노출증, 그리고 관음증이 발현되는 공간에서 우리는 남의 과장된 행복과 의도적인 다정한 대화에 끼어들지 못하거나 부러움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은지 되돌아 봐야 한다.

이를 극복하는 것은 지나치게 과장하고 화려한 척 하는 온라인 친구를 조금 멀리하고, 자신이 잘 아는 사람들 중심으로 타임라인을 재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한 가지는 당신같이 온라인에서 남들보다 불행하다고 생각하거나 외롭다고 느끼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알고 자신만의 문제가 아님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페이스북 포스팅에 ‘좋아요’를 한 번도 받지 못하는 글이 60%를 넘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소셜 네트워크 속에서 어떨 때 가장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시나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만나보세요!

LiVE LG 뉴스레터 구독하기

LiVE LG의 모든 콘텐츠는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글과 이미지는 저작권과 초상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운영정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