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세계최초 광대역 ‘FDR’ 통신기술로 5G 선도

2016.12.04 LG전자

■ 세계최초 광대역 다중안테나 기반 ‘FDR(Full Duplex Radio, 전 이중 통신)’ 기술 시연 성공, 5G 핵심기술 선점
■ 한정된 주파수 자원 효율 높여 수 조원대 경제적 가치 기대

지난달 29일 LG전자 서초 R&D 캠퍼스에서 LG전자 연구원과 연세대학교  연구원이 80MHz 대역폭의 광대역 다중안테나(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반 ‘FDR’ 통신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LG전자가 지난달 29일 세계최초로 80MHz 대역폭의 광대역 다중안테나(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반 ‘FDR’ 통신기술을 연세대학교(민병욱 교수)와 공동 개발, 시연함으로써 5G 핵심기술을 선점했다.

‘FDR’ 통신기술은 기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방식)’,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방식)’ 대비 주파수 효율을 최대 2배까지 늘릴 수 있다.

2014년부터 ‘FDR’ 기술개발을 추진한 LG전자는 지난해 10월 LTE 주파수 대역폭인 ‘20MHz’에서 동작하는 ‘FDR’ 기술 시연에 성공한 바 있다. 올해는 5G 표준에서 핵심적으로 요구하는 광대역 주파수 대역폭인 ‘80MHz’에서 ‘FDR’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

LG전자가 시연한 ‘FDR’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5G 표준의 유력 후보기술이다. 특히, 가용 대역폭이 제한된 ‘6GHz’ 이하 주파수 대역에서 유용하다. 한정된 주파수 자원의 높은 경매가격을 감안하면 ‘FDR’ 기술로 가능한 주파수 효율 향상은 수 조원대 이상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시연은 ‘FDR’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안테나, 아날로그, 디지털 부문의 개별 기술을 통합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개발했다. 또, ‘다중안테나(송/수신 안테나를 각각 2개 이상으로 늘리는 방식)’ 기술까지 접목해, 주파수 효율을 더욱 높였다.

LG전자 CTO부문 차세대표준연구소장 곽국연 부사장은 “5G 주요 표준으로 예상되는 ‘FDR’ 기술 선점으로, 향후 5G 표준 경쟁력과 영향력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관련 용어 설명
5G(Generation) 이동통신
2020년 본격 상용화가 예상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롱텀에볼루션(LTE)과 같은 기존 4G 통신과 비교하여 최대 전송속도는 약 20배 빠른 초당 20Gbps, 사용자 체감 전송속도는 10배~100배 빠른 초당 100Mbps~1G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방식
데이터 송수신에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 ‘주파수 대역’을 도로, ‘송수신 데이터’를 차량 수에 비유하면, ‘FDD’ 통신기술은 2개의 도로를 이용해 한쪽은 상행 차량, 다른 한쪽은 하행 차량을 보내는 방식. 현재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LTE-FDD를 서비스 하고 있다.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방식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차를 두고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방식. 예를 들어, 1개의 도로에서 시간을 배분해 상행 차량과 하행 차량을 번갈아 가면서 보내는 방식. 대표적으로 현재 중국 1위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이 LTE-TDD를 서비스 하고 있다.

FDR(Full Duplex Radio): 전 이중 통신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차 없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하는 방식. 예를 들어, 1개의 도로에서도 상행 차량과 하행 차량을 충돌 없이 동시에 보내는 방식. 즉, ‘FDD’ 대비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TDD’ 대비 송수신 데이터 전송속도를 2배 높일 수 있음

뉴스레터 구독하기 |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만나보세요!

LiVE LG 뉴스레터 구독하기

LiVE LG의 모든 콘텐츠는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글과 이미지는 저작권과 초상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운영정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