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하게 살고 싶은 직장인의 초간단 재테크 전략

2011.09.26 LG전자
요즘 주변 분들과 이야기 나누다 보면 평범하게 사는 게 절대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행히 저는 남들 하는 결혼, 올해 초 해치웠는데요. 자녀 한 명당 2.6억 든다는 신문 기사를 보니 자녀 계획을 수정해야 하는 거 아닌가 걱정이 태산입니다. 결혼-출산-자녀교육-은퇴라는 평범한 삶을 밟아가는 것이, 흔히 말하는 중산층으로 살아가는 것이 왜 이렇게 힘든 걸까요? 오늘 저같이 평범하게라도 살고 싶은 직장인의 재테크 전략에 대해 간단히 더블로그 독자 여러분에게 공유하고자 합니다. 

평범하게라도 살고 싶은 직장인의 재테크 전략은
평범하게 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재테크 전략
 

우리가 그나마 속하고 싶은 레벨인 중산층, 그 중산층은 도시 가구 중위 소득(전체 가구를 소득에 따라 배열한 뒤 따진 중간값)의 50~150%에 해당하는 계층이라네요. 쉽게 말하면 세금 떼기 전 1,332만원에서 3,996만원까지 연봉을 받는 사람들을 말하는데요.(2009년 통계청 자료-중위 소득 2,664만원) 그런데 은행 돈 빌려 전세도 얻고, 집도 사고, 대출이자를 포함해서 사교육비 등등 돈이 술술 새어 나가잖아요. ㅜㅜ 그래서인지 마이너스만 아니라도 다행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겠죠. 이런 팍팍한 현실 앞에서도 좌절하지 않기 위하여, 국제재무설계사에게 자문을 구했습니다. 김미옥 CFP가 들려주는 재테크 전략은?!

재테크 전략1 그 첫걸음은 인생 재무설계부터

동전 사진

재무설계란, 한 마디로 ‘원하는 때, 원하는 만큼의 돈’을 계획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흰 종이 위에 선을 그어 놓고 시작점에 자신의 이름과 나이를 적어보세요. 그리고 중간중간 자신이 이루고 싶은 꿈을 적어보세요. 결혼이나 자녀 계획 등도 포함될 것이고, 은퇴 시점은 언제인지 등등. 이때 유념하실 것은 막연한 낙관주의를 버리라는 것입니다. 나도 남들만큼만 일하고 남들만큼은 산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단순히 계산해도 꽤 많은 돈이 들죠? 그런데 매년 물가는 평균 4%씩 오르지, 은행 금리는 평균 3.79%. 그렇게 생각하면 미래에는 더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재테크 전략2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현재의 소득 지출부터 알기

신용카드와 지폐 사진

우선 내 소득은 매달 얼마나 되는지, 거기서 고정 지출은 얼마나 되는지, 변동 지출 중 의미 없이 소비되는 것은 없는지 등을 살피는 것입니다. 
 

혈액 순환이 잘 되어야 건강한 것처럼 우리 돈도 순환이 잘 되어야 건강한 자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의미 없는 소비를 줄여서 저축과 투자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지요. 사실 월급이 한정되어 있으니 소비를 줄이면 모이는 돈도 더 많아지겠죠. ^^

재테크 전략3 불필요한 소비일수록 카드 대신 현금으로

 

행동경제학에서는 카드보다 현금으로 지불하는 것이 ‘지출의 고통(pain of paying)’이 더 크다고 합니다. 실제로 체크카드의 잔액이 줄어들 때마다 ‘이것이 꼭 나에게 필요한 것인가?’를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되잖아요. 

재테크 전략4 자산과 부채를 알고 장기적으로 준비하기

 

언론 보도에 따르면, 12년간 재테크 수익률 1위는 주식(연평균 복리 11.38%)이랍니다. 2위는 전세를 고려한 주택 실제 투자 수익률이 연평균 8~9%, 그다음이 채권(연평균 6.71%), 정기예금이 5.1% 수준입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에 직접 참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2010년 한 해 동안 기관은 59.24%, 외국인 56.59%의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개인은 2.26%에 불과하답니다. 
 

원인은 ‘투자를 오래 지속할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좋은 주식을 장기간 보유해야 한다는 원칙은 알고 있지만, 지킬 여유가 없지요. 
 
이처럼 저축과 투자에서도 자신의 현재 자산과 부채 규모를 파악해서 그에 따라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 학창 시절 꾸준히 실력을 쌓아야만 좋은 실력을 낼 수 있는 국영수 과목처럼요. ^^
어떻게 김미옥 CFP의 재테크 전략이 도움이 되셨나요? 김미옥 CFP는 외국계 투자자문 및 보험투자 상품을 다루는 회사에서 3년째 근무하고 있습니다. 국제공인자격을 가지고 있고, 펀드 투자 상담 등 관련 자격을 두루 갖춘 인재이면서… 올 초 저와 결혼한 제 아내이기도 합니다. 하하. 상담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저에게 연락 주세요. ^^;
 하와이 여행 사진

김미옥 CFP의 마지막 코멘트입니다.

“로또를 꿈꾸기보다는 새는 돈을 잡고, 모으고 굴려서 내가 원하는 때 실행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진정 행복한 인생 아닐까요?”

원칙을 지키는 효과적인 재테크야말로 지금의 행복을 유지하는 행복테크가 아닐까 싶네요. 모두~ 지금처럼 늘 행복하세요.^^  

Writer(guest)  

이미지이미지김강희(행복 가꿈이) 선임연구원은 MC연구소 제품플랫폼담당 CAD그룹에서 PCB수정횟수 관리와 (F)PCB설계Guide-Master로 활약하고 있다. 검도대회 참여, 아내와 봉사활동, 박사과정 계획, 특허 해외출원 노력, 음료수 딸린 삼각김밥과 라면을 1100원에 살 수 있는 팁 등의 다양한 생각을 하면서 행복을 가꾸고 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만나보세요!

LiVE LG 뉴스레터 구독하기

LiVE LG의 모든 콘텐츠는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글과 이미지는 저작권과 초상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운영정책 보기